치매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렸다.

반응형

국내 연구진이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뇌 속 노폐물을 청소하는 뇌척수액의 배출경로를 새롭게 찾아냈습니다. 현재로서는 치매를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나 치료법은 없습니다. 치매는 중추신경계의 질환으로, 뇌 세포의 손상이나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증상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일부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몇 가지 치료적 접근법이 있습니다.

 

뇌척수액 배출경로 새롭게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 연구단 고규영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연구팀은 뇌척수액의 주요 배출 통로가 코 뒤쪽에 있는 비인두(구강과 비강을 후두와 연결하는 인두의 상단 부분) 점막에 넓게 분포하는 림프관망이라는 것을 새롭게 밝혀냈습니다. 또한 림프관망과 연결된 목 림프관을 발견하고, 이를 수축·이완시켜 뇌척수액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뇌 속 노폐물을 원활히 청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입니다.

IBS 혈관 연구단은 2019년 뇌 후방부위 뇌척수액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을 통해 목 부위 안쪽 림프절로 배출되고, 노화에 따라 림프관이 퇴화하면 뇌척수액 배출 기능이 저하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뇌의 앞쪽과 중간 부위 뇌척수액 배출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뇌의 앞쪽과 중간 부위 뇌척수액이 비인두 점막 림프관망에 모인 뒤 목 림프관을 지나 목 림프절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배출됨을 규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로 뇌 속 노폐물을 청소하는 비인두 림프관망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한 것은 물론, 뇌척수액의 배출을 뇌 외부에서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며 “향후 치매를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에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약물 치료

치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뇌 신호 전달 물질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라는 약물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돈에페질, 갈란타민이 있습니다. 길항제(antipsychotics)나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도 증상 관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치료적 활동 및 행동치료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행동치료는 환자가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환경 개선

치매 환자의 주변 환경을 조절하여 삶의 품질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한 환경 조성, 일상적인 활동 유도, 소셜 인터랙션 촉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치매 치료 연구

현재 치매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치료법 및 예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면역학, 유전학, 신경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치매의 치료에는 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초기에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족과 함께 의료 전문가와 협력하여 치매로 인한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